같은듯 다른 아보다트와 프로페시아

프로페시아 vs 아보다트

오랜만에 포스팅작성을 하게 됐습니다.

이번에는 아보다트와 프로페시아에 대해 준비를 했습니다.

 

저도 점점 나이가 먹어감에 따라 동지(?!)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동안 탈모약을 먹냐고 놀리던 애들이 탈모샴프에 탈모 클리닉에 바쁘더라구요. 

 

이전 포스팅에도 많이 언급했는데 현재 검증된건 아보다트와 프로페시아 뿐 입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론 검증되지 않은 다른 처방들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ex) 탈모샴프, 검은 콩 등..

 

같은 탈모약이지만 '성분'이 다르다.

다양한약

맞습니다.

아보다트와 프로페시아의 성분은 전혀 다릅니다.

당연히 그에 따른 부작용과 효과도 다를 수 밖에 없죠!

 

프로페시아 = 피나스테리드

오래 전 부터 사용된 탈모약으로 원래는 원래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 목적으로 사용했다가 부작용으로 머리카락이 자라나는 현상이 발견되어 용량을 줄여 탈모약으로 개발 (1997년 승인)

 

아보다트= 두타스테리드

2002년 양성전립선비대증 치료제 미국 FDA 승인을 받았고 남성유전형 탈모유발인자를 억제시킴. 

다만, 미국 FDA로부터 공식적으로 탈모치료제로 승인은 받지 못한 상태

* 국내는 2010년 승인됨

 

탈모 유발 물질은 DHT라는 남성호르몬이 주원인입니다.

위의 두가지 약모두 결국은 DHT 남성호르몬을 억제시켜 탈모진행을 더디게 막아주는거죠. 

조금더 파고 들어가면 DHT로 변환하는 5알파-환원효소(1형, 2형)의 생성을 억제시킵니다. 

 

5알파-환원효소 1형 > 피지선에 주로 분포

5알파-환원효소 2형 > 두피에 많이 분포

프로페시아와 아보다트

여기서 둘간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프로페시아는 2형, 아보다트는 1형과 2형을 동시에 억제시킵니다. 

즉, 아보다트가 보다 효과적으로 DHT를 억제시켜주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DHT의 생성을 막아 큰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둘의 DHT 억제력은 프로페시아는 최대 70%, 아보다트는 최대 90%

 

다만, 미국과 유럽식약처로 부터는 승인을 받지 못했다는 점과 프로페시아에 비해 나온지 얼마안된 약이라 안정성에 대해선 미지수인 상태입니다.

 

그리고 '남성호르몬'을 억제시킴으로써 그만큼 성욕 감퇴, 발기 부전 등의 성기능 장애 발생 빈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고 여성형 유방, 심부전 등의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 프로페시아도 동일한 부작용이 있지만 아보다트 성분이 더 억제를 하기때문에 상대적으로 빈도가 높음 

  상세내용
효과 프로페시아(피나스테리드)
>5알파-환원효소 2형 억제

아보다트(두타스테리드)
>5알파-환원효소 1형과 2형 억제
반감기 프로페시아
> 6~7시간
아보다트
> 1개월 이상
부작용 전립선 암 위험 증가
성욕감퇴/발기부전/성기능장애
여성형유방/심부전등의 가능성

참고 : 미국 식약처 - 전립선암 위험 증가

 

한가지 유의깊게 보아야할 부분은 바로 '반감기' 입니다.

반감기는 약효과 몸속에서 반을 줄어드는기간, 즉 반감기가 짧을수록 약효도 그만큼 빨리 빠져나갑니다. 

그래서 모든 약들은 반감기가 짧을수록 부작용으로 인한 피해가 줄어들어 안정적입니다. 

 

요약하면 탈모를 유발하는 인자를 아보다트가 보다 효과적으로 막아주어 탈모에 효과적이라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불안한 요소는 국내에는 정식 승인 됐지만 해외에선 아직 FDA 승인을 얻지 못한다는 점 이네요.

 

아무래도 상대적으로 규제가 까다로워 보다 꼼꼼하게 체크를 해줄텐데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아직도 FDA에 승인요청을 하지 않는다는점은 꺼림칙 할 수 밖에 없구요.

 

그리고 빈번하지 않지만 '부작용'의 위험도 프로페시아 대비 아보다트가 높아 탈모에 효과적일지 모르지만 안정성에 대해선 여전히 미지수입니다.

그렇지만 각종 커뮤니티나 사례를 들어보면 아보다트로 변경 후 탈모로 인해 비었던 곳이 어느정도 메꿔지는 효과를 본 후기가 꽤 있어 참고로 알아두면 좋을것 같습니다.

탈모로 검색해서 블로그로 오는 분들이 많아 제가 찾아본 여러 사례를 모아 추가 포스팅을 작성할 예정입니다.

 

아보다트와 프로페시아 부작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면,

탈모약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부작용이 될 수밖에 없죠. 

그래서 이번에는 좀 더 상세하게 준비를 했습니다. 

  복용군 위약군
프로페시아 1년
* 1mg 용량
1.8% 성욕감퇴 
1.3% 발기부전
1.2% 사정장애
1.2% 이상반응으로 중단
1.3%
0.7%
0.7%
0.9%
프로페시아 2~4년
* 5mg
5.1% 발기부전
2.6% 성욕감퇴
1.5% 사정량감소
0.2% 사정장애
1.8% 유방비대
0.7% 유방압톡
0.5% 발진
5.1%
2.6%
0.5%
0.1%
1.1%
0.3%
0.1%
아보다트 1년 6% 발기부전
4% 성욕감퇴
2% 사정장애
1% 여성형유방
3%
2%
<1%
<1%
아보다트 2년  2% 발기부전
<1% 성욕감퇴
<1% 사정장애
1% 여성형유방
1%
<1%
<1%
<1%

프로페시아의 경우 식약처의 부작용 참고자료를 보면 1년차와 2~4년차 자료가 있는데 '용량'이 다르다는 점에 유의해야합니다.

현재 탈모약으로 시판 중인 프로페시아 용량 1mg입니다. 

사진

프로페시아는 위약군과 모두 1%내외의 차이가 발생하는 반면 아보다트는 많게는 3%까지 큰차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즉, 실제로 약에 의한 부작용의 확률이 높다는 뜻이 되죠. 

발기부전 1년차 복용군 비율만 보더라도 아보다트는 6%, 프로페시아는 1.3%로 큰 차이가 벌어집니다.

위의 표만 보면 확실히 프로페시아가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특이한점은 투약기간이 길어지면 둘 모두 위약군과 비교했을때 1%내외의 차이가 발생해서 1년차에 비해 위약군과 대조군의 차이가 희미해진다는 점이네요.

 

1. 두타스테리드(아보다트) 관련 이상반응 상세내용 

양성전립선 비대증 임상시험에서 두타스테리드 단독 투여시 나타난 이상반응 세 건의 위약대조 3상 임상시험에서 4,300명 이상의 양성전립선 비대증 남성 피험자를 위약 또는 이 약 0.5mg을 투여하도록 임의배정하였다.

2,167명에게 이 약을 투여하였는데 이중 1,772명이 1년간, 1,510명이 2년간 이 약을 투여하였다.

피험자의 연령은 47~94세(평균 66세)였고, 백인이 90%를 넘었다.

2년에 걸친 투약 기간 동안, 376명(각 시험군의 9%)이 이상반응으로 인하여 시험에서 탈락하였는데, 대부분이 생식기계와 관련 있었다.

시험약에서 기인할 가능성이 있는 이상반응으로 연구자가 판단하여 시험약을 중단한 경우는 이 약 투여 피험자의 4%, 위약 투여 피험자의 3%에서 나타났다.

아래와 같이 연구자가 이 약과 관련 있는 것으로 판단한 이상반응들(1%이상의 빈도로 발생한 이상반응들)이 3개의 3상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이 약 투여시에 위약과 비교하여 더 자주 보고되었다.

 

참고 : 식약처 두타스테리드

2. 피나스테리드(프로페시아) 관련 이상반응 상세 내용

1)남성형 탈모증 환자에게 이 약 1 mg을 투여한 임상시험12개월에 걸친 3개의 대조임상시험에서, 투약군 중 1.4 %의 환자가 약물과 관련가능성이 있거나 상당히 관련되어 있거나 관련성이 명백히 있다고 보고된 이상반응으로 인하여 임상시험도중 탈락되었으며 투약군에서는 1.2 %, 위약군에서는 0.9 %의 환자가 약물 투여로 인한 성기능 관련 이상반응 때문에 임상시험에서 탈락되었다(위약군 : n = 934중 1.6 %).

 

이 약 혹은 위약을 각각 12개월간 투여하였을 때 1 % 이상의 빈도로 나타난 이상반응 중 약물과 관련 가능성이 있거나 상당히 관련되어 있거나 또는 관련성이 명백히 있다고 보고된 이상반응을 표1에 나타내었다.

이상반응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 약을 투여받은 945명의 환자 중 36명(3.8 %)이, 위약을 투여받은 934명의 환자 중 20명(2.1 %)이 1개 이상의 성기능 관련 이상반응을 경험하였다(p = 0.04).

 

성기능 관련 이상반응으로 인하여 투약을 중단한 경우, 투약중단 후에는 모든 환자에서 이러한 이상반응이 사라졌으며, 투약을 계속한 환자의 대부분에서 이상반응이 사라졌다.

건강한 남성에게 이 약 혹은 위약 1일 1회 1정을 48주간 투여한 임상시험에서 사정액 감소량의 중앙값은 각각 0.3 mL(-11 %), 0.2 mL (-8 %)였다. 이 약의 5배 용량(5 mg/일)을 투여한 다른 두 임상시험에서 사정액 감소량의 중앙값은 위약투여군과 비교시 약 0.5 mL(-25 %)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이러한 현상은 투약을 중단하면 회복되었다.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유방압통·비대, 과민반응 및 고환통의 유병률은 투약군과 위약군에서 유사하였다.

사진

2) 이 약 5 mg을 투여한 임상시험4년간의 위약대조 임상시험(PLESS, Proscar Long-Term Efficacy and Safety Study)에서 45세에서 78세의 전립샘비대 환자(증상유무와 무관) 3,040명을 대상으로 4년에 걸친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약 5 mg으로 치료한 3.7 %(57명의 환자), 위약으로 치료한 2.1 %(32명의 환자)가 성기능관련 이상반응으로 치료를 중단하였으며,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이상반응은 성기능관련 이상반응이었다.

4년간의 임상시험에서 위약보다 높은 빈도로 발현하였고 이 약 5 mg에서의 발현율이 1 % 이상이었으며 임상시험연구자에 의해 약물과 관련가능성이 있거나, 상당히 관련되어 있거나, 분명히 관련되어 있다고 간주된 이상반응은 다음 표2와 같았다.

임상시험 2 ∼ 4년에서는 투여군간 발기부전, 성욕감퇴, 사정장애 발현율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참고: 식약처 파나스테리드

 

끝으로, 부작용에 대해 요약하면 우선 '식약처'를 통과한 만큼 안정성에 대해선 둘 모두 어느정도 확보했다고 보면 됩니다. 

안정적인 측면은 프로페시아가 월등합니다.

 

그리고 둘 모두 약을 중단 후 에는 대부분의 이상반응을 사라졌기때문에 지나친 걱정은 안해도 될것 같습니다.

특히나 프로페시아는 반감기도 짧고 위약군과의 차이도 크지않아 더더욱 안심하고 복용 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프로페시아와 아보다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안정성을 중요하게 여긴다면 프로페시아가 유리하고 성능을 중요하게 여기면 아보다트를 선택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탈모약 복용 시 가장 치명적인 '전립선암'의 경우 사전에 PSA(전릭선특이항원)라는 검사를 통해 전립선암을 선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탈모약을 복용하면 해당 수치가 떨어져 전립선암에 위험하다고 합니다.

특히 아보다트(두타스테리드)복용 예정이라면 복용 전 검사하고 장기 복용 시에도 주기적으로 체크를 하면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카더라 자료가 아니고, 대한비뇨기과 학회에서 권고하는 사항이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탈모약을 예전부터 복용했던터라 이번에 PSA라는 검사를 처음 들었는데 언제 시간이 되면 한번 방문을 할 예정입니다.

방문 하게 된다면 후기도 올리겠습니다.

비용은 1~2만원정도 소모되는것으로 보이고, 간단하게 피검사를 통해 알 수 있다고 하네요^^  

 

그럼 탈모로 고통받는 분들에게 도움이 됐길. 

탈모약 알아보기

: 검증된 약이 있는데 왜 민간요법에 의지를 하세요?

탈모약 진실은?

주변 지인도 그렇고 탈모약에 관해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선입관을 갖고 있거나 부정적인 생각을 가진 경우가 많습니다. 

탈모약이 있음에도 민간요법, 탈모샴프등 탈모약을 외면하는경우가 많아 탈모약에 대해 정리를 해봤습니다.

불임, 기형아등 부작용으로 인해 걱정이 많아 안드시는 분들이 많은데 다른걸 해봐야 효과가 없다고 장담합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탈모약"을 최우선으로 복용 후 샴프나 검은콩 등 민간용법을 시행하는걸 추천합니다. 


민간요법을 맹신하지 마세요. 

정식으로 승인 탈모"약"

시중에 판매 중인 수많은 탈모약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중 "탈모약"이라고 칭할 수 있는건 2가지 뿐입니다. 

바로 탈모약으로 유명한 피나시테리드 계열의 "프로페시아"와 바르는 탈모약인 "미녹시딜" 이 2가지만 정식적으로 미국 식약청(FDA)에 승인을 받은 약이고 그외 다른 약들은 효과를 보장하지 못합니다. 

"약"이라는게 중요한데, 약이라는 명칭은 쉽게 붙일 수 없습니다. 

‘약사법’에 따르면 사람 또는 동물의 질병을 진단(diagnosis)하거나 치료(remedy)·경감(reduction)·처치(proceeding)·예방(prevention)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질로써, 기구나 기계가 아닌 것을 통틀어 우리는 약이라고 부릅니다.

즉, 약은 식약처의 허가를 통해 실제적으로 "치료","예방","처치","경감"등 효과가 입증됐다는 소리입니다.

 

그만큼 식약처의 허가와 "약"이라는 명칭이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그만큼 식약청을 통과하기위해선 다양한 임상실험과 안전성에 대한 보장, 약에 대한 효능이 검증이 되어야하는데 통과를 시켜주는데 이를 통과하지 못했다는 소리는 반대로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효과가 없다는걸 뜻하기 때문입니다. 

다양한 "약"들

물론, 다른 민간요법들이 실제로 효과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검증된 약들이 이미 시판에 판매중에 있는데 시판중인 약은 거부하고 이상한 약들을 챙겨 먹을 필요가 있을까요?

"약"이라는 명칭이 붙지 않는다면 안정성과 효과에 대한 보장이 없다는 소리이고 실제로 효과가 있다면 왜 합법적으로 승인을 받고 "약"으로 판매하고 있지 않을까요?

정말 효과가 있다면 약으로 만들어 판매만해도 떼돈을 벌텐데 효과가 없으니 그냥 입으로, 또는 글로만 떠드는거라고 생각합니다. 


탈모를 막아주는 피나스테리드와 두나스테리드

두나스테리드

피나스테리드 외에 한국에서는 두나스테리드 계열의 "아보다트"라는 약이 있습니다.

이 약은 미국 식약청(FDA)는 통과를 못했지만 국내 식약처에서는 통과되어 그 효능을 인정받은 약이라 두나스테리드 계열의 약도 탈모약으로 분류를 해도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피나스테리드/두나스테리드라는 성분은 모두 탈모를 유발하는 인자인 DHT 라는 남성호르몬을 억제해서 탈모를 막아줍니다. 

DHT를 직접 감소시키기 보단 5알파 환원효소를 억제시켜 DHT의 생성을 막아주는 작용을 합니다. 

여기서 피나스테리드와 두나스테리드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피나스테리드

5알파 환원효소는 3가지 아형으로 분류가 되고 1형은 간/피부/두피에 존재하고 2형은 두피(모낭)에 주로 분포하는데 두나스테리드는 1형과 2형에 모두 작용하도록 고안이 되었고 피나스테리드는  2형에 주로 작용합니다. 

피나스테리드 2형에 주로 작용
두나스테리드 1형과 2형에 작용

그래서 두나스테리드가 효과가 더 좋다고 사람들이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다만, 위에 미국 식약청의 허가를 얻지못한고 국내식약처의 허가만 얻은 상태라 왠지 모를 불안감 같은게 있습니다.  

저의 경우 5년전 실제 피부과 내방해서 탈모약 처방을 받을때 의사선생님이 두타스테리드로 교체를 한번 해보라고 해서 바꿨는데 기존 약과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기억이 정확하진 않지만 6개월 가량 복용 했다가 다시 피나스테리드로 바꾸고 중간에 몇개월 안먹은적이 있지만 현재까지 꾸준히 먹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 아보다트 남성탈모치료에 우세

바르는약 미녹시딜
먹는약 두나스테리드-아보다트
피나스테리드-프로페시아

참고로 바르는약(미녹시딜)과 먹는약을 같이 복용을 하면 O자형 탈모에는 큰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미녹시딜은 머리에 발라 혈관을 확장시켜주어 피를 원활하게 돌게하고 먹는약은 탈모를 유발하는 인자를 막아 탈모를 방지 시켜줍니다.

바르는 약인 미녹시딜

서로 작용하는 방식이 다르기때문에 먹는약 + 바르는약 같이 진행한다면 보다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M자형인 경우라면 경험상 큰효과를 기대해볼 순 없고 "현상유지"를 목적으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이전 포스팅을 보면 알겠지만 득모가 되서 M자 부분이 드라마틱하게 메꿔지는 현상은 없고 약을 먹은 시점이후로 탈모의 진행을 막아주어 탈모가 더 진행되는걸 어느정도 지연을 시켜줍니다. 

알려진 부작용으로는 성욕감퇴는 1.8%, 발기부전 1.3%, 사정액 감소 1.2%로 부작용이 보고됐고 가짜 약을 복용시킨 대조군에서도 성욕감퇴 1.3%, 발기부전 0.7%, 사정액 감소 0.7%의 부작용이 보고 되었습니다.

즉, 심리적인 부분이 큰영향을 준다는걸 알 수 있어 주의를 해야하는것 맞지만 과도하게 걱정을 하는건 오히려 안좋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약을 끊고 3개월이 지나면 약효과 사라진다고 하니 부작용이 생긴다면 병원을 약을 끊고 병원에 내방 하시길 바랍니다. 

** 탈모약의 경우 여성에게 안좋은 영향(불임)을 주기 때문에 만지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합니다.

영향이 없다곤 하지만 0.0000x%의 가능성이 있기때문에 임신을 계획중이라면 3개월 정도 끊고 관계를 가지는게 좋습니다.** 

참고 : 탈모약 여성이 만지기만해도 기형이될까 ?


정리하면,

제 블로그를 보시면 알겠지만, 몇년을 먹어도 큰 변화는 없었고 "현상유지"와 플라시보 효과인지는 몰라도 예전보단 모발이 굵어진듯한 느낌이 많이 들었습니다. 

M자형 분들은 너무 큰 기대는 하지 마시고 현상유지만 한다고 생각을 하시면 편할겁니다. 

*반대로 O자형 탈모는 미녹시딜 효과가 좋은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참고로 주변 지인들을 보면 처음에 탈모약 먹는다고 뭐라고 했던 사람들이 있는데, 지금 그 지인 몇몇은 관리를 안해서 저보다 훨씬 더 많이 빠진 사람이 정말 많습니다.

그만큼 관리에 따라 탈모를 어느정도 지연 시킬 수 있으니 탈모가 의심된다면 하루빨리 병원에 내방하는게 좋습니다. 

 

특히, 집안에 탈모인 사람이 있다면 계속해서 의심을 하는게 좋습니다. 

저도 아버지와 할아버지 쪽은 탈모가 아니어서 안심하고 있었는데 외가쪽에 탈모인 사람이 있어서 머리가 얇아지기 시작하더니 M자 점점 벌어져 급하게 약을 먹기 시작했네요.

 

중간에 약효과가 없는줄 알고 끊었는데, 끊고나서 급격하게 머리 숫도 얇아지고 엠자는 더 벌어져 다시 복용했구요. 

효과가 없는게 아니라 "현상유지"자체가 효과가 있는거니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그냥 계속 드세요. 

그래서 저는 탈모 샴프나 다른 건 일체 하지 않고 탈모약만 먹고 있는 상태입니다. 

차라리 샴프, 검증되지 않은 다른약으로 돈을 날리느니 그돈을 아끼고 아껴서 모발이식을 하자는 마인드라 위에 설명한 탈모약 이외에 방법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물론, 자금에 여유가 된다면 다하셔도 무방하지만 그전에 우선 효과가 보장된 치료법인 탈모약을 최우선으로 하신 후 진행하는게 좋습니다.

주변에 약에 대한 거부감때문에 정작 약은 안먹고 탈모샴프, 검은콩등 민간요법을 많이하는데 결국 다 빠졌어요....

 

부디 탈모가 의심된다면 하루빨리 내방하시고, 막는 방법은 결국 효과가 입증 된 "탈모약"과 "모발이식"뿐이니 탈모약을 드시다가 민간요법할 돈들을 모아 모발이식을 하는게 가장 합리적인 선택 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다들 힘내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