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자 탈모, 탈모약 복용 2년차 솔직후기(핀페시아)

탈모약 2년, 777복용 리얼 후기

안녕하세요! 

오래만에 올리는 탈모약 '찐' 후기 입니다. 

꾸준히 올릴려고 했지만 어느새 마지막 포스팅을 작성한지 240일이 훌쩍 지났네요.

문득 생각이나서 급하게 후다닥 올려봅니다. 

 

777일 (2년) 탈모약 복용 과정 

포스팅을 작성일 기준으로는 오늘까지 총 777일간 탈모약을 복용했습니다.

그렇지만 실제 탈모약을 먹은 기간은 2~3년 가량 더 됩니다.

 

처음엔 M자 탈모로 인해 프로페시아를 복용했다가 가격이 부담되서 중간에 탈모약을 2년정도 안먹었습니다.

그렇게 안먹고 지내다 보니 어느새 M자가 점점 깊어지는게 느껴져 다시 탈모약을 먹기 시작했고 이번엔 변화된 모습을 '기록'하기 위해 블로그에 작성하기 시작한게 바로 777일 전입니다. 

 

중간에 프로페시아, 미녹시딜, 프로스카 등 다양한 약을 먹다가 가격이 저렴한 복제약인 핀페시아를 알게되서 핀페시아 탈모약을 계속 먹고있습니다.

 

물론, 777일 이라곤 하지만 중간에 까먹거나 귀찮아서 안먹은 날도 있지만 한달에 1~2번 있을까 말까고 꾸준히 복용을 했습니다. 

당연한거겠지만 사람마다 '효과'가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어디까지나 개인복용 후기일뿐 지나친 맹신은 독이 될 수 있어 '참고'용도로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현재 블로그에 있는 후기는 모두 '프로페시아'의 카피약인 '핀페시아'에 대한 복용후기입니다. 

M자 탈모 후기 포스팅을 작성한 이후로 '탈모샴프'와 '민간요법'은 전혀 하지 않았습니다. 

또, 별도로 병원을 방문해 탈모클리닉을 받은 이력도 없습니다. 

 

순수 '탈모약'복용에 대한 후기라고 보면 되고 틈틈이 바르는 약인 '미녹시딜'도 틈틈이 발라주고 있습니다. 

즉, 탈모약/미녹시딜에 대한 후기라고 보면 무방해보입니다. 

 

미녹시딜은 중간에 간지러움이 심하면 1~2주간 바르지 않았던터라 기간으로 따지는 200일 정도 될것 같습니다. 

사진으로 보는 탈모약 777일간의 변화 

글을 아무리 써도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사진'이 제일 정확하다고 생각합니다.

별도의 부연설명없이 사진으로 확인하세요. 

23일차 -정면 사진
둘모두 777일차 사진 - 사진빨(?)조심.

탈모약을 갓 먹기 시작했을때인 23일차 사진과 777일 탈모약을 복용했을때의 정면 비교사진입니다. 

아래쪽 사진은 둘 모두 777일차 사진인데 왼쪽이 좀 더 이마가 1자라인으로 보이시죠 ?

 

사진의 각도와 머리를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저렇게 차이가 나네요.

저도 사진을 찍어놓고 너무 달라서 의아해서 다시 찍었습니다. 

즉, 사진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어느정도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포스팅을 봐주세요! 

첫번째 138일차 나머지 777일차 

오른쪽 부분 비교 사진으로 첫 사진만 138일차 사진이고 나머지가 777일차 사진입니다. 

헤어라인이 정확하게 표시되진 않는것 같아 2개를 올렸습니다.

 

첫번째 138일차 나머지 777일차 

위와 동일하게 첫사진만 138일차 사진, 나머지는 777일 차 현재 사진입니다.

23일차 사진은 머리카락을 잘못 잡아선지 몰라도;; 유독 두피가 휑해 보이네요. 

그래도 잔털때문에 왼쪽 헤어라인은 23일이 좀 더 나아보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큰차이는 보이지 않습니다. 


다음으로 일자별 변화를 좀 사진 한장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정면사진을 기준으로 보면 '큰 변화'는 보이지 않으실겁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계속 언급했지만, '탈모약'은 먹어서 머리카락이 자라는게 아닙니다. 

물론 O자형의 경우 운이 좋다면 자라는 경우도 있다곤 하지만 대다수는 안자랍니다. 

 

즉, 탈모약은 '현상유지'만 해줘도 제 역활을 해주는 겁니다.

그러니 탈모약을 먹다가 효과가 없다고 끊었다간....탈모가 점점심해지겠죠. 

 

저도 그래서 효과가 없는줄알고 끊었다가 다시 탈모약을 복용하게 된 거고 복용한 이후로는 확실히 '현상유지'가 잘 되고 있습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머라카락 굵기가 얇아지고 있지만 헤어라인 자체는 약을 복용할때와 비슷하게 유지중에 있습니다.

 

주변 지인들을 보면 M자 탈모가 진행 중이었는데 2~3년 전부터 약을 먹으라고 했지만 먹질 않아서 지금은 저보다 훨씬 더 머리가 휑어졌네요;

그래서 긴가민가 하시다면 하루빨리 병원에 내방 후 진단을 받으세요.

하루라도 빨리 대비를 해야 머리카락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을 시작한 계기가 바로 '탈모약'에 대한 후기가 몇건 있긴하지만 장시간동안 복용한 사람에 대한 객관적인 사진정보나 진행사항을 확인을 할 수 없어 시작을 했는데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언제가 될진 모르겠지만 시간이 되면 올리겠습니다. 

부디 도움이 됐길 바라며 모두 힘내세요! 

 

도움이 됐다면 아래하트 꾹! (로그인 없어도 됩니다.)

 

첫 탈모약 복용 후기 : 23일차 탈모약 후기 

미녹시딜겸용 복용후기 : 532일차 후기

 

그외 탈모 관련 같이보면 좋은 정보

탈모약 진실은 ?

마지막 희망 모발이식 방법과 관련정보 총 정리 

전세계 코로나 현황, 아직도 확산 진행 중

그동안 100명 이내로 관리가 되고 있어 코로나에 대한 경각심도 많이 사라졌는데요. 

오늘 급작스레 국내 코로나 확진자가 100명이 넘었습니다. 

 

오랜만에 전세계 코로나 추이를 살폈는데 생각하는것보다 코로나는 훨씬 더 심각하게 퍼지고 있었습니다. 

특히나, 세계 인구순위 2위인 인도가 급속도로 퍼지고 있는 상태라 어떻게 될지 가늠이 안되네요. 

 

인도뿐 아니라 남미(멕시코/페루), 아프리카대륙에선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코로나로 인해 큰 피해를 입고 있었고 그럼 얼마나 퍼졌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0-08-13 일자 코로나 통계 자료로 예전엔 없었던 국가들이 많이 보입니다.

기존에는 유럽, 아시아 국가들이 주를 이뤘는데 그동안 못봤던 남미, 아프리카 대륙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유럽국가들은 그래도 확진자 어느정도 줄었다가 최근에 다시 올라가는 추세인데, 미국은 꾸준히 코로나 확진자 수치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현재도 코로나대책을 꾸준히 시행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큰효과를 발휘하진 못하는것 같습니다. 

 

1줄당 100만명을 나타내는 표로 확진자가 많은 상위권에 있는 나라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 확산세가 점점 심해졌다가 최근에는 살짝 꺽인상태, 그렇지만 아직도 과거 (5~6월)보단 심각한 상태

브라질/인도 : 확진자 100만명이 되는 주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고 현재도 급속도로 확진자가 늘어나는 상태

남아프리카 공화국 : 위의 국가들 보다는 더디게 진행 중 

 

대충 표를 보면 알겠지만 100만명이 되는 주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인도의 상승새는 쉽게 예측이 되질 않네요. 

 

선진국과는 다르게 의료시스템도 낙후되고 인구수만해도 무려 13억 8천만명에 달하는데, 제대로 검진이나 받을지 의문입니다. 

그래서 예전부터 코로나관련 정보를 살필때면 꼭 인도 데이터를 확인했는데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네요. 

 

다음으로 과거에 코로나 확진자가 많았던 몇곳을 골라 봤습니다. 

스페인 : 최근에 급증세를 보이다가 증가폭이 둔화되고 있는상태, 아직은 좀 더 추이를 지켜봐야함

독일/프랑스/한국 : 소강상태지만 그래도 꾸준히 확진자는 발생

일본 : 검사 자체를 적게 해서 신뢰가 안되지만, 확진자 증가폭이 점점 커지는 상태.

 

유럽의 경우 점점 둔화되는 상태이긴 하나, 최근에 확진자수가 늘고 있어 다시 통제를 강화시키고 있습니다. 

그래도 위에 언급한 인도/미국등에 비하면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네요. 

 

우리나라도 안정적이긴하나, 오늘 100명이 발생한게 얼마나 더 퍼질지 가늠이 되질 않네요.

가뜩이나 비도 많이 오고 휴가철이라 검진받으러 가는 사람들도 적을테구요. 

 

또, 사람이 많이 가는 롯데리아/스벅/교회 등에서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어 검진을 통해 밝혀지지 않았을뿐 숨겨진 불특정 다수가 얼마나 더 퍼트릴지...... 

최근에 경각심이 많이 약해졌는데 미리 마스크좀 쟁여 둬야겠습니다. 

최근 일본 근황.

일본의 경우는 초기부터 검진자체를 적게하고 있고 지금도 검진수는 늘긴했지만 신뢰가 가질 않습니다.

위의 사진이 최근 근황이라는데..... 너무 풀어진것 같구요. 

그냥, 당분간은 일본여행은 안가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WHO 에서 제공하는 전세계 코로나 현황 맵입니다. 

확진자 : 20,439,814명 

사망자 : 744,385명

 

이수치가 크게 와닿지않을텐데, 

2차 세계대전 당시 사망한 미군의 수가 40만 5천 399명 입니다. 

우선 2배가 넘는건 확실해 보이며 아직도 전세계 코로나 확진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어 어떻게 될지 예상할 수 없네요.

 

대륙별 통계 자료로 일부 지역은 정점을 찍은 후 내려 오고있지만, 유럽은 다시 증가폭이 커지고 있습니다. 

동남아증가폭이 심상치 않아 보이고 아직 '정점'을 찍지 못한 지역도 있는 만큼 코로나가 급속도로 종식되는 일은 없어 보이네요....

전세계 코로나 누적확진자와 사망자 증가세를 보면 확진자 추세는 최근부터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정점을 찍었던 수치와 비슷하게 되고 있네요. 

 

마지막 확진자 기록을보면 하향이 아니라 큰폭으로 증가하는걸 보아선 아직도 정점을 찍은것 같진 않습니다. 

확진자가 급속도로 늘고있는 '동남아','인도' 등의 국가는 의료시설도 낙후되고 오염된 환경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많아 숨겨진 코로나 확진자는 더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늘었으면 더 늘었지 아직은 줄어들 기미는 보이질 않네요!


WHO에서 설명하는 코로나 19 확산 방지법

* 번연기로 단순 번역했습니다. 

원문참고 : WHO 코로나 19 예방

다음과 같은 간단한 예방 조치를 취함으로써 COVID-19 감염 또는 확산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1. 알코올을 함유한 손으로 손을 문지르거나 비누와 물로 손을 깨끗이 씻는다.

> 비누와 물로 손을 씻거나 알코올을 이용한 손 문지르기를 사용하면 손에 묻을 수 있는 바이러스를 없앨 수 있다.

2. 자신과 다른 사람 사이의 거리를 최소 1미터로 유지하라.

> 누군가 기침을 하거나 재채기를 하거나 말을 할 때, 그들은 바이러스를 포함할 수 있는 작은 액체 방울을 코나 입으로부터 분사한다. 너무 가까우면 COVID-19 바이러스를 포함한 물방울을 들이마실 수 있다.

3. 붐비는 곳에는 가지 마라.

> 사람들이 떼를 지어 모이는 곳에서는 COVID-19를 가진 사람과 가까이 접촉할 가능성이 높으며 물리적 거리를 1m(3피트)로 유지하는 것이 더 어렵다.

4. 눈, 코, 입을 만지는 것을 피하라.

> 손은 많은 표면을 만지고 바이러스를 잡을 수 있다. 일단 오염되면, 손은 당신의 눈, 코 또는 입으로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다. 거기서부터 바이러스가 몸 안으로 들어와 감염시킬 수 있다.

5. 여러분과 여러분 주변의 사람들이 좋은 호흡기 위생을 따르도록 하십시오. 기침을 하거나 재채기를 할 때 굽은 팔꿈치나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사용한 휴지를 즉시 처리하고 손을 씻어라.

> 물방울이 바이러스를 퍼뜨린다. 좋은 호흡기 위생을 따라 감기, 독감, COVID-19와 같은 바이러스로부터 주변 사람들을 보호한다.

 

6. 기침, 두통, 미열 등 경미한 증상이 있어도 회복될 때까지 집에 있으면서 자가 격리를 한다. 보급품 가져오라고 해 만약 집을 떠나야 한다면, 다른 사람들에게 전염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마스크를 쓰세요.

>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은 가능한 COVID-19와 다른 바이러스로부터 그들을 보호할 것이다.

7. 만약 열이 나고 기침과 호흡곤란이 있다면, 의사의 진찰을 받지만, 가능하면 미리 전화로 연락하고 현지 보건 당국의 지시를 따르십시오.

> 국가 당국과 지방 당국은 당신 지역의 상황에 대한 최신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미리 전화하면 당신의 의료 서비스 제공자가 당신을 적절한 보건 시설로 빠르게 안내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또한 여러분을 보호하고 바이러스와 다른 감염의 확산을 막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8. WHO 또는 지역 및 국가 보건 당국과 같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의 최신 정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십시오.

> 지역 당국과 국가 당국은 당신의 지역 사람들이 보호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조언하는 가장 좋은 위치에 있다.


저도 코로나에 대해서 우습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오늘 친구로 부터 코로나 감염된 지인의 이야기를 들고 정신이 번쩍 들었네요. 

 

현재 지인의 아버지가 자발호흡이 되지 않아 목에 직접 삽관을 해 기계(아마도 에크모?)를 통해 호흡을 유지하고 있는 중이라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동안 30~40명도 확진자도 많지않고 아는 지인 중에 걸림사람이 없어서 방심하고 있었는데 다시 경각심을 가지게 됐네요.

귀찮아도 마스크만은 더워도 꼭 착용하길 바라요! 

iOS 빌드 중 에러가 발생했다. 

에러내용 : Provisioning profile failed qualification

Profile doesn't match the entitlements file's values for the application-identifier and keychain-access-groups entitlements.

해결방법 : Provisioning profile을 제거

 

개발자들의 지식인인 StackOver Floew 를 참고해보니 Xcode버전을 다른걸 설치해서 다시 배포하라고 답변이 달려있었다. 

당연히 다운로드는 시간도 걸리고 번거로웠고, 혹시나 싶은 마음에 Provisioning profile을 제거해봤다. 

 

다행히 다시 빌드를 한 후 에는 정상적으로 동작이 되어 문제가 해결됐네요~

배포과정 중 원인모를 이슈가 많아 혹시나 싶어 공유를 해봅니다. 

 

Provisioning Profiles 경로 : 

/Users/{userName}/Library/MobileDevice/Provisioning Profiles/

 

경로 이동 방법 : 

Finder에서 command(또는 cmd) ⌘ + shift ⇧ + G

를 누르면 경로를 넣을 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에 위의 경로 복사 후 유저이름만 변경해서 넣으면 끝. 

 

Provisioning Profiles 폴더는 지워도 계속 생성되기때문에 부담없이 지워도 상관없습니다. 

최초 참고했던 글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2586293/xcode-11-provisioning-profile-failed-qualification

* Xcode버전을 다른걸 받아 빌드하랬던 글. 혹, 위의 방법으로 해결이 안된다면 참조. 

 

삭제 후 정상적으로 업로드가 진행되었고 앱에도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그럼 한명이라도 도움이 됐길. 

흑백사진 복원 사이트 

기존에 흑백으로 된 사진을 컬러로 전환해주는 사이트가 있네요!

 

http://hi.cs.waseda.ac.jp:8082/